아장아장 개발 일기

AWS Route53에서 도메인 연결 및 Host zone 관리 방법 본문

개발/AWS

AWS Route53에서 도메인 연결 및 Host zone 관리 방법

빨간머리 마녀 🍒 2022. 7. 29. 14:12

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배운 AWS Route53을 통한 도메인 연결과 Host zone관리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만약 구매하고자 하는 도메인이 co.kr 등 국내 도메인이라면 Gabia에서 구매하시면 되고, 그 외 .com 등이라면 AWS Route53에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구매방법은 간단하니 따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아래는 AWS Route53에서 도메인 연결 및 Host zone 관리 방법입니다.

 

1. 도메인 연결 및 Host zone 관리를 위해 먼저 AWS Route53에서 호스트 존 등록

AWS Route 53에 접속해 'Create hosted zone'을 클릭합니다.

 

간단한 hosted zone 등록 페이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등록하고자 하는 domain 명을 기입합니다.

 

호스트존을 등록하고나면 해당 호스트 존의 Name server 목록이 보여지는데요, 만약 도메인 구매를 Route 53이외의 사이트에서 한다면 해당 정보가 필요합니다.(2번 아래 이미지 참고)

 

2. 가비아 등 AWS Route53가 아닌 사이트에서 도메인 구매시 AWS에 등록된 호스트존의 네임서버 입력하기

가비아에서 도메인 주소 구매를 하는 화면인데요. 네모 표시된 네임서버 설정에 Route 53에서 확인한 네임서버 정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가비아에 타사 네임서버 정보 입력시 IP주소는 cmd창에 nslookup 명령어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도메인과 IP주소 연결하기

생성된 nayana.me 호스트존을 클릭한 후 'Create record' 버튼을 누릅니다.

 

메인 도메인을 그대로 사용하실 경우에는 Record Type을 A로, seoul.nayana.me 처럼 하위도메인을 생성하시고 싶으시면 Record Type을 CNAME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Value의 경우 A 타입이면 ip4주소를, CNAME이면 dns 주소를 적어주세요.

 

위와 같이 입력후 'Create Records'을 클릭하시면 해당 IP 및 DNS 주소에 연결된 도메인 생성이 완료됩니다.

 

이후에는 이렇게 생성된 도메인에 AWS Certificate Manager 및 LoadBalancer를 활용해 SSL을 입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