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query
- awscloud
- Java
- javaspring
- Route53
- filterexpression
- MockMvc
- partiql
- 스프링테스트
- 자바스프링
- 로드밸런서
- 오류
- 다이나모디비
- IdClass
- awscli
- AWS
- testresttemplate
- 스프링
- secondaryindex
- Spring
- Springsecurity
- markerinterface
- 도메인
- annotation
- 개발
- 자바
- DynamoDB
- compositekey
- EmbeddedId
- 테스트코드
- Today
- Total
목록자바 (5)
아장아장 개발 일기
에러내용 아래의 에러메세지가 뜨며 프로그램 실행에 실패했다. org.springframework.beans.BeanInstantiationException: Failed to instantiate [com.fasterxml.jackson.datatype.jsr310.JavaTimeModule]: Unresolvable class definition; nested exception is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com/fasterxml/jackson/databind/ser/std/ToStringSerializerBase at org.springframework.beans.BeanUtils.instantiateClass (BeanUtils.java:149) at org.spr..
IntelliJ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땐 잘 찾아지던 file이 Jar파일로 만든후 해당 파일을 찾으려하면 FileNotFound Exception이 발생했다. 검색해보니 이미 여러 사람이 비슷한 오류를 경험한 듯 했다. 왜 IntelliJ에서는 잘 찾아지던게 Jar로 실행시키면 안되는건지 찾아보니, Jar 파일 안의 리소스들은 file이 아닌, stream이기 때문 이라고 한다. (기존 소스) ClassPathResource resource = new ClassPathResource(FilePath); String someText = new String(Files.readAllBytes(Paths.get(resource.getURI()))); (변경후) InputStream resourceStream..
자바 환경세팅할때 항상, Java, JDK, JVM, JRE, SDK의 개념이 헷갈렸습니다. 이번에 새로운 프로젝트 소스를 만들 기회가 있어, 해당 개념을 먼저 정리하고 시작했는데요. 그때 참고한 블로그 글을 요약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19년도에 작성된 블로그글이라 업데이트가 필요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먼저, Java 무슨 버전을 사용해야할까요? 많은 레거시 프로젝트들이 여전히 Java 버전 8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몇몇 레거시 프로젝트들은 버전 5, 6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약 가장 최신 IDE, 프레임워크, 빌드툴을 사용해 새로운 프로젝트를 개발한다면 Java 11 혹은 그 이상의 버전을 사용해도 좋습니다. 왜 많은 회사들이 자바 8버전에 머물러 있을까요? 빌드툴(Maven,..
‘hasAnyRole()’을 사용하려면 role enum 클래스에 롤 이름이 ‘Role_’ 접두사와 함께 쓰여야합니다. ‘hasAnyAuthority()’는 접두사 없이 사용합니다. Role은 큰 개념의 역할을 의미하는 반면, Authority는 보다 작은 기능 단위의 권한을 의미합니다. 참고 : https://minholee93.tistory.com/entry/Spring-Security-Authorities-Role
mvc 구조로 이뤄진 프로젝트의 경우 mockMvc 템플릿을 사용해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mockMvc를 사용하기 전에 TestRestTemplate을 사용해 테스트를 시도했는데 spring security config때문에 로그인 페이지에서 302 에러가 표시되었습니다. 정확히 스프링 시큐리티의 httpSecurity configure의 loginform과 antMatcher로 권한 필터링하는 소스가 테스트하려는 소스로의 진입을 막는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이는 mockMvc 템플릿의 @WithMockUser, @WithUserDetails등의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해결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TestRestTemplate을 @WithMockUser 혹은 @WithUserDetails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