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자바
- 오류
- 스프링
- AWS
- 도메인
- compositekey
- 로드밸런서
- DynamoDB
- 자바스프링
- Spring
- IdClass
- secondaryindex
- 스프링테스트
- 다이나모디비
- partiql
- 테스트코드
- Java
- awscli
- javaspring
- awscloud
- query
- markerinterface
- filterexpression
- annotation
- Springsecurity
- testresttemplate
- EmbeddedId
- 개발
- MockMvc
- Route53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ATABASE (1)
아장아장 개발 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9SN8w/btrArcR9lOg/n34txLwPxWgplE86FySsm0/img.png)
DynamoDB를 사용할때 로컬에 설치해 cmd에 aws cli 명령어를 사용해 관리가 가능합니다. 어떻게 설치하는지 소개해드리려고 하는데요. 먼저 로컬에 설치했을때와 web에서 사용할때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먼저 아래 aws 문서에 따르면, 로컬에 DB를 설치하면 “처리량, 데이터 스토리지 및 데이터 전송 요금 절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아예 무료는 아닌것 같고, web에서 사용할때에 비해 비용이 적게 청구되는 것 같습니다. ☞ DynamoDB Local 설정(다운로드 가능 버전) DynamoDB Local 설정(다운로드 가능 버전) - Amazon DynamoDB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
개발/AWS
2022. 4. 25.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