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MockMvc
- DynamoDB
- 로드밸런서
- testresttemplate
- 스프링테스트
- filterexpression
- partiql
- Springsecurity
- Spring
- 다이나모디비
- annotation
- javaspring
- awscloud
- query
- 자바스프링
- AWS
- awscli
- markerinterface
- 스프링
- Java
- secondaryindex
- 개발
- 자바
- 오류
- Route53
- 도메인
- compositekey
- EmbeddedId
- IdClass
- 테스트코드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Interface (1)
아장아장 개발 일기
마커 인터페이스(Marker Interface)의 이해(+ 어노테이션, 일반 인터페이스와의 비교)
CrudRepository와 JPARepository의 차이에 대해 배우던 중, 마커 인터페이스(Marker Interface)에 대한 개념이 나와 공부할겸 Baeldung의 관련 게시글을 번역, 정리해보았다. 마커 인터페이스란? 마커 인터페이스라 하면 아래를 의미한다. 내부에 메서드나 상수가 없는 인터페이스 객체에 대해 런타임 타입의 정보를 제공 → 컴파일러와 JVM이 객체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태깅 인터페이스(tagging interface)라고도 불림 코드 스멜(code smell)을 야기할 수 있어 잘 사용해야함 최근 개발 동향은 같은 용도로 어노테이션 사용을 선호하는 편 → 마커 인터페이스와 어노테이션간의 공통점, 차이점은 아래의 '마커인터페이스 VS 어노테이션'에 서술 JDK..
개발/Spring
2022. 12. 22. 13:19